박준모 무신사 대표 15일 타운홀미팅
"더 큰 위기 전 경각심"… '비상경영' 선포
지난해 매출 1조 달성했으나
1분기 실적 기대치 미달해
![]() |
<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> |
17일 패션 업계에 따르면 박준모 무신사 대표는 지난 15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타운홀미팅을 개최하고 비상 경영 체제 선포했다. 박 대표는 "여러 가지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"이라며 "무신사 비즈니스의 복잡성이 높아지고 있어 더 큰 위기가 오기 전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"고 강조했다.
올해 1분기 무신사의 거래액은 전년 대비 늘었지만, 내부 목표치에는 미달한 것으로 알려졌다. 지난해 무신사의 매출은 연결 기준 1조2427억원 전년 대비 25.1% 증가했고, 영업이익은 1028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. 연간 거래액은 4조5000억원에 달한다.
무신사는 비상경영 기간 동안에 임원들의 주말 출근을 지시하고, 조직별 슬림화로 운영 효율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. 박 대표는 "비상경영의 기간이 얼마나 이어질지는 알 수 없다"면서도 "과감한 투자와 잘 짜여진 계획대로 실행해 나간다면 현재 상황을 돌파할 수 있을 것"이라고 말했다.
무신사가 비상 경영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조만호 무신사 대표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. 무신사 창업자인 조 대표는 2021년 6월 대표직에서 사임한 뒤, 지난해 3월 말 경영에 복귀했다. 조 대표의 복귀 후 무신사는 매출 1조 클럽에 입성했고 기업공개(IPO)를 위한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.
다만 최근 들어 소비 심리가 둔화되고 투자심리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어 위기감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. 매 분기 실적이 목표치에 미달할 경우 IPO 절차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. 이에 더해 최근 명품 플랫폼 발란이 기업회생에 돌입한 탓에, 투자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. 이에 따라 무신사는 선제적인 비상 경영 선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.
박재현 기자 [email protected]
<ⓒ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, 아시아경제(www.asiae.co.kr) 무단전재 배포금지>
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.
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.
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